목록데벨챌 (2)
공간일기

'그로스 해킹' 4장에서는 지표 활용하기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지표는 크게 Stock(저량) / Flow(유량)으로 나뉘게 되는데, Stock(저량)은 시작과 끝이 없고 특정 지점의 누적량에 대한 부분을 보여주는 지표이고 Flow(유량)은 시작과 끝이 있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관찰되는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누적량을 보여주는 것 자체가 유량지표에 비하면 많은 정보를 담고 있지는 않지만, 특정 서비스에 따라 유의미한 자산인 경우도 있다.(ex. 링크드인 누적 프로필 수 / 멜론 누적 보유곡 수 등) 마케팅적 성과가 뚜렷할 때는 '유량지표'를 불분명할 때는 '저량지표'를 중점으로 바라봤던 나 자신이 떠올라서 어이없다. 1. 심슨 패러독스 - 더 쪼개서 분석을 해봐야겠다는 생각주간, 월간 각 채널을..

2024년 1월 원하는 업종의 마케터로 재취업하였고, 적응을 위해 시간을 달려오다 보니 2024년도 거의 끝나간다. 데이터리안 오픈 채팅방을 알게된 챌린지로 그로스 해킹을 다시 펼쳤고, 작년 이맘때쯤 '그로스 해킹'을 이해하고 스터디하기 위해 블로그 리뷰를 했었는데 다시 읽으니 새롭게 다가온다. 그로스 해킹, 성장하는 서비스에 대한 이해그로스해킹이라는 용어를 처음 들었던 것은 데이터 분석 부트캠프를 알아볼 때쯤이었다. "마케팅에 데이터 분석을 적용하여 빠르게 테스트를 하고 검증하는 것이 스타트업에 좋겠다!" 이렇게gong-gan-diary.tistory.com 그로스 해킹에 대한 저자의 설명이 담긴 1장에서 가장 와닿던 문장은 "우리의 목표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퍼포먼스 마케터가 되는 것이 아님을 ..